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7종목-미용 의료 기기 대장주 2024년 주가상승률과 현재

by 야후냉면 2025. 2. 27.
반응형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가 재차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용 의료기기 대장주를 알아보자. 2023년과 2024년 주가상승률을 통해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대장주를 찾아보기로 한다. 2025년 2월 27일에는 클래시스의 삼성 피인수 루머로 이 섹터가 강세를 띠었다.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7종목, 미용 의료기기 대장주와 관련된 글이다. 사진은 클래시스 홈페이지.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7종목, 미용 의료기기 대장주와 관련된 글이다. 사진은 클래시스 홈페이지.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7종목- 나열 순서는 27일 상승률 순

레이저옵텍(27일 상한가)

주가 9500원, 시가총액 1144억원, 2024년 3분기 매출 72.9억원, 영업손실 -10.5억원, 순손실 -4.4억원.
피부미용 의료기기 매출이 3분기 기준 70.6%, 질환 치료기기 16.5%. 세계 최초로 티타늄 사파이어를 이용해 고체 UVB 레이저 기반의 PALLAS 장비를 개발해 외국산인 엑시머가 독점하던 백반증 치료기기 시장에 진출했다.
 

클래시스(27일 19.14%)

주가 69,100원, 시가총액 4.5264조원, 2024년 3분기 매출 594억원, 영업이익 289.5억원, 순이익 164.9억원. 영업이익률 48.7%. PER 44배. 비침습 초음파 HIFU 기반 미용 기기 브랜드 '클루덤' 등을 보유한 회사이다.
 
피부 미용 의료 기기 대장주이다.
 

아스테라시스(27일 8.59%)

주가 10,110원, 시가총액 3692억원, 2024년 3분기 매출 67.8억원, 영업이익 14.7억원, 순이익 10.4억원, 영업이익률 21.7%. HIFU(재품명 라푸테라)와 RF를 이용한 피부 미용 의료기기를 국내외에 판매하는 회사이다.
 

동방메디컬(27일 5.81%)

주가 11,110원, 시가총액 2287억원, 2024년 3분기 매출 264.4억원, 영업이익 47.3억원, 순이익 26.8억원, 영업이익률 17.9%. 미용 의료기기(필러, 캐뉼러, 각종 바늘류) 등을 한방 의료기기 (일회용 한방침, 일회용 부항컵)를 제조 판매한다.
 

라메디텍(27일 3.25%)

주가 8580원, 시가총액 742억원, 2024년 3분기 매출 16.9억원, 영업손실 -25.0억원, 순손실 -23.2억원. 피부 미용과 의료기기 매출이 전체의 77.4%, 레이저 채혈기 매출이 21.4%이다.
 

비올(27일 2.30%)

주가 8,460원, 시가총액 4942억원, 2024년 3분기 매출 140억원, 영업이익 88.7억원, 순이익 73.1억원, 영업이익률 63.4%. PER 17.8배. RF 기술을 활용해 주름, 색소침착 등을 개선하는 피부 미용 의료기기를 개발, 판매한다. 주요 제품은 스칼렛, 실펌, 실펌-X 등이다. PER가 상대적으로 낮아 주가상승 여력이 커 보인다. 향후 피부 미용 의료 기기 대장주로서 손색이 없다.
 

하이로닉(27일 1.56%)

주가 6,530원, 시가총액 1214억원, 2024년 3분기 매출 70.4억원, 영업손실 -3.4억원, 순손실 -14.1억원. HIFU 제품이 주요 포트폴리오이다. DOUBLO 시리즈와 ULTRA VERA 및 V-RO 등이 있다. 영업손실률이 -4%대로 낮은데다, 해외 매출이 53%이고, 시가총액이 낮아 나중에 피부 미용 의료 기기 대장주가 될 수도 있는 재목이다.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7종목, 미용 의료기기 대장주와 관련된 글이다. 사진은 비올 홈페이지.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7종목, 미용 의료기기 대장주와 관련된 글이다. 사진은 비올 홈페이지.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가운데 미용 의료 기기 대장주 찾기. 연도별 수익률 비교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섹터는 지난해 12월 9일 대폭락(-7.42%) 이후 반등한 뒤 2월 들어 계속 저점을 높이고 있는 상태이다.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7종목의 2023년 주가상승률, 2024년 주가상승률, 2025년 주가상승률(2월 27일 현재)을 살펴본다.

종목2023년 상승률
(종가)
2024년 상승률
(종가)
2025년 상승률
(종가)
레이저옵텍미상장
(공 24600원)
-78%
(5320원)
79%
(9500원)
클래시스105%
(37750원)
26%
(47650원)
45%
(69100원)
아스테라시스미상장

미상장
(공 4600원)
129%
(10110원)
동방메디컬미상장미상장
(공 15000원)
-26%
(11110원)
라메디텍미상장
(공 16000원)
-49%
(공 16000원)
5%
(8580원)
비올164%
(8500원)
-5%
(8050원)
5%
(8460원)
하이로닉19%
(7923원)
-20%
(6300원)
4%
(6530원)

 
 
레이저옵텍은 2024년 2월 1일 공모가 2만 4600원에 상장했으나 첫날 하한가를 기록했다. 공모가 기준 2024년 상승률은 -78%이다.
 
아스테라시스는 2025년 1월 상장된 새내기 주식이다. 공모가는 4600원이다. 시기가 좋을 때 상장했기에 실적을 계속 추적하면서 지켜봐야한다. 동방메디컬은 2025년 2월에 상장됐다. 공모가는 15000원으로 현재 주가는 그에 미치지 못한다. 순수 미용 의료업체는 아니라는 점을 주시해야 한다.
 
라메디텍은 2024년 6월 1만6000원에 상장했다.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 미용 의료 기기 대장주 2024년 잠점 실적 관련 정보  

레이저옵텍

2024년 잠정실적에서는 지난 4년과는 달리 첫 매출 역성장에 머물렀다. 매출은 343억원에서 334억원으로 소폭 줄었다. 이로 인해 영업이익은 44.8억원에서 -9100만원으로 적자 전환, 순이익 역시 1678만원에서 -2.4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요즘 제2의 클래시스라면서 증권가에서 홍보한다.
 

클래시스

2024년 잠정실적 발표에서 또한번 호실적을 보여줬다. 매출은 1801억원에서 2429억원으로 35%, 영업이익은 896억원에서 1224억원으로 37%, 순이익은 742억원에서 975억원으로 31%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매출과 이익면에서 답보할 것으로 봤던 증권사 컨센서스를 비웃는 실적이었다.
 

아스테라시스, 동방메디컬

올해 상장돼 아직 증시 실적 공시가 없다. 대개 있는 매출, 없는 매출을 모두 앞당겨 끌어와서 상장하기에 실적 기대는 하지 않는 편이 좋다.
 

라메디텍

2024년 잠정실적 발표가 매우 좋지 않았다. 매출은 29억원에서 65.7억원으로 늘었지만, 전부 공짜 샘플로 팔았는지 영업손실이 -35.2억원에서 -96.6억원으로 늘었다. 당연히 순손실도 -83억원에서 -94.8억원으로 급증했다.
 

비올

2024년 잠정 실적이 매우 좋다. 니들 RF 피부 미용 의료기기의 아시아 시장 호조와 중국 시장 신규 진출 덕분이다. 매출은 425억원에서 582억원으로 늘었다. +37%이다. 영업이익 역시 223억원에서 360억원으로 62% 신장했다. 순이익 역시 215억원에서 326억원으로 51% 성장했다.
 
그런데 주가를 3년째 제자리이다. 지난 2년간은 선반영이었다면 현재는 시가총액 4942억원 나누기 순이익 215억원을 하면 PER이 15.15배가 나온다. 성장 산업에서 지나치게 박한 밸류에이션이다. 2, 3배의 신속한 리밸류에이션이 가능해 보인다. 이를 확실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성장의 질을 알아보기 위해 결산보고서를 정독할 필요는 있다.
 
 
 
 
 
 
 

반응형